올해 2차에는 3개 업체를 신청해서 기술성평가를 받았다.
올해 특히 멘탈 공격을 많이 받아서 위원들이 코멘트했던 사항들을 적어두고 내년 기술성평가에서는 책잡힐 일을 만들지 않고자 한다.
이번 기술성 평가는 도입기업의 대표자가 10분간 발표를 한 후 20분동안 이루어지는 질의응답 시간에 도입기업과 공급기업 참석자가 함께 응답을 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.
이게 뭐라고 항상 떨면서 들어가는지 참. ㅠㅠ 나는 열심히 머리 써가면서 작성했는데 가차없이 물어뜯기는거 볼때마다 멘탈 털림..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34.gif)
3개 업체의 평가위원 의견 중 공통적으로 들었던 내용은 아래와 같다.
[ 공통의견 ] 사업계획서 작성 시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. (★★★★★)
전반적으로 구축 목표와 데이터 집계, AS-IS 대비 TO-BE, 기능구성 등이 맥락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. |
데이터 집계 포인트에서 집계되는 데이터를 구체화하여 상세하게 작성해야 한다. (예. 생산에서 수집되는 공정별 상세 수집 데이터를 모두 기재) |
산출물 예정목록에서 누락된 산출물을 추가해야 한다. |
외부 교육 수료계획에서 작성된 내용은 수료증과 같은 증거자료로 확인이 되어야 한다. |
핵심성과지표에서 감소/증가시킬 수 있다는 근거를 세세히 적어야 한다. |
사업비로 도입되는 장비는 반드시 스마트공장 구축 목표와 관련있는 데이터의 집계가 가능해야 한다. |
사업비로 도입되는 장비는 반드시 핵심성과지표 달성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. 장비를 도입함으로써 개선될 항목이 시스템적으로 표기되어야 한다. |
고용유지 및 고용창출 계획에 작성하는 인력의 수는 신규고용(월초), 상시고용(월말)을 기준으로 작성하되, 중도 퇴사는 포함하지 않는다. |
사용자 교육 훈련에서는 실제 교육받을 도입기업 담당자의 직함이 기재되어야 하며, 한명이면 꼬투리잡힐 가능성이 있으니 2~3명으로 기재한다. |
[ 기타 ] 이것까지 챙기는 당신은 센스쟁이PM! (★★☆☆☆)
핵심성과지표 측정방법의 데이터 명시가 잘못되었다. |
사업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HW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.(예. 스펙, 데이터집계, 이를 도입함으로써 핵심성과지표를 달성할 수 있는 근거 등) |
유지보수 세부내용이 부실함. 사용자 교육이나 예비품 확보 등과 같은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. |
지원하는 도입기업의 건물 외에 다른 곳에 HW 및 기타 지원은 불가하다. 대신 임대차계약서와 같은 근거자료가 있는 경우의 임대는 가능하다. |
재고관리는 MES의 기본이므로 누락되어서는 안 된다. |
HW의 서버 OS 비용이 계상되어야 한다. |
NAS와 같은 공유서버의 도입 시, 보안적 요소가 함께 들어가는 것이 꼬투리 안 잡힌다. |
기술성 평가는 참석하는 위원에 따라 달라지지만 위의 공통사항은 웬만해서는 동일하니, 스마트공장 사업계획서 작성 시 참고하면서 작성하면 좋을 것이다.
사업계획서의 내용이 부실하면 부실할수록 평가위원들의 의구심을 키워 보지 않아도 될 부분까지 들춰지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으므로(200% 장담합니다.. 어떻게 아냐고요? 저도 알고싶지 않았습니다...),
체크리스트를 통해 기깔나는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서 기술성 평가도 당당하게 받자!!
반응형
'스마트공장 P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집중AS기간 유무선AP 위치 이전 (0) | 2022.10.06 |
---|---|
스마트공장 핵심성과지표(KPI) 산출 수식 (0) | 2022.08.03 |
ipTIME NAS2e 펌웨어 다운그레이드 하는 법 (0) | 2022.05.31 |
2022-05-12 정기미팅 (0) | 2022.05.13 |
19~20년도 스마트공장 사후점검 (0) | 2022.05.13 |
댓글